
박재삼은?
-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네 살때 경상남도 삼천포로 이사를 와 그곳에서 자랐다. 삼천포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수학했다.
- 1953년 시조 〈강물에서〉를 모윤숙 추천으로 《문예》 11월호에 발표했고, 1955년 《현대문학》에 유치환 추천으로 〈섭리〉를, 서정주 추천으로 〈정숙〉을 발표하며 등단했다. 1962년에 첫 시집 《춘향이 마음》(신구문화사)을 낸 이래 시선집을 포함하여 열대여섯 권의 시집을 세상에 펴냈다.
1955∼1964년 월간 《현대문학사》 기자를 거쳐서 1965∼1968년 《대한일보》 기자, 1969∼1972년 《삼성출판사》 편집부장, 월간 《바둑》의 편집장을 지내기도 했으며, 1974년에 한국시인협회 사무국장과 1993년에 새로이 창간된 계간《한겨레문학》 초대편집위원을 역임했다. 1997년 지병에 시달리다 향년 65세로 세상을 떠났다.
- 출생 – 사망 1933. 4. 10. ~ 1997. 6. 8.
- 출생지 해외 일본 도쿄
- 데뷔 1953년. 시 「강물에서」가 모윤숙에 의해 문예에서 추천
- 1987 제2회 평화문학상
- 1986 중앙시조대상
- 1983 한국문학작가상
- 1982 노산문학상
- 1977 한국시인협회상
- 1967 문교부 문예상
- 1957 현대문학 신인상
- 1996 제4회 한국공간시인상 심사위원
- 1994.03 한국시인협회 기획위원장
- 1987.12 통일민주당 문화예술정책 자문위원
- 1969 서울신문주최 패왕전 과전기 담당
- 1969 ~ 1772 삼성출판사 편집부장
- 1965 ~ 1968 대한일보 기자
- 1964 월간 바둑 편집장
- 1955 ~ 1964 월간 현대문학 기자
출처 : 박재삼 네이버 인물검색
삼천포 중학교 졸업
삼천포 고등학교 졸업
고려대학교 국문학 중퇴
작품목록
- 《슬퍼서 아름다운 이야기》(강미문화사, 1977)
- 《빛과 소리의 풀밭》(고려원, 1978)
- 《노래는 참말입니다》(열쇠, 1980)
- 《샛길의 유혹》(태창문화사, 1982)
- 《아름다운 현재의 다른 이름》(1994)
- 1962년 처녀시집 《춘향의 마음》
- 1970년 제2시집 《햇빛 속에서》
- 1975년 제3시집 <천년의 바람>(민음사)
- 1976년 제4시집 <어린 것들 옆에서>(현현각)
- 1977년 제1수필집 《슬퍼서 아름다운 이야기》(경미문화사)
- 1978년 제2수필집 《빛과 소리의 풀밭》(고려원)
- 1979년 제5시집 《뜨거운 달》(근역서재)
- 1980년 제3수필집 《노래는 참말입니다》(열쇠)
- 1981년 제6시집 《비 듣는 가을나무》(동화출판공사)
- 1982년 제4수필집 《샛길의 유혹》(태창문화사) – 제7회 노산문학상을 수상
- 1983년 수필선집 《숨가쁜 나무여 사랑이여》(오상출판사)
- 1983년 제7시집 《추억에서》(현대문학사) – 제10회 한국문학 작가상을 수상
- 1984년 자선시집 《아득하면 되리라》(정음사)
- 1985년 제8시집 《대관령 근처》(정음사)
- 1985년 제9시집 《내 사랑은》(영언문화사)
- 1986년 수필집 《아름다운 삶의 무늬》(고려원),《차 한 잔의 팡세》(자유문학사)
- 1986년 제10시집 《찬란한 미지수》(오상사) – 중앙일보 시조대상을 수상
- 1986년 시선집 《간절한 소망》
- 1987년 시선집 《바다 위 별들이 하는 짓》(문학사상사)
- 1987년 시선집 《울음이 타는 가을강》 《가을 바다》
- 1987년 제11시집 《사랑이여》(실천문학사) – 제2회 평화문학상 수상
- 1988년 시선집 《햇빛에 실린 곡조》- 제7회 조연현 문학상 수상
- 1990년 수필집 《미지수에 대한 탐구》(문이당)
- 1990년 제12시집 《해와 달의 궤적》(신원문화사)
- 1991년 제13시집 《꽃은 푸른빛을 피하고》(민음사) 인촌상(仁村賞) 수상
- 1993년 제14시집《허무에 갇혀》 (시와시학사)
- 1996년 병상에서《다시 그리움으로》(실천문학사)

박재삼 연보
- 1933년 4월 10일 아버지 박찬홍(朴贊洪)과 어머니 김어지(金於之)의 차남으로 일본 동경부(東京府) 도남다마군(稻南多摩郡) 성촌실야구(城村失野口) 1004번지에서 출생. 아버지는 모래 채취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했다. 형과 누이동생 둘이 있다.
- 1936년 4세 때 가족이 모두 귀국하여 어머니의 고향인 경남 삼천포시 서금동 72번지에 정착했고, 이곳에서 성장함.
- 1937년 누이 동생 순애 출생.
- 1940년 삼천포 히노데(日出)국민학교에 입학함. 이 학교는 뒤에 수남(洙南)국민학교로 개칭했고, 현재는 삼천포초등학교임.
- 1942년 누이 동생 순엽 출생.
- 1946년 수남국민학교 졸업 후, 3천 원이 없어 신설된 삼천포중학교에 진학을 못하고 신문배달을 하던 중 삼천포여자중학교의 가사 담당 여선생의 도움으로 그 학교 사환으로 들어감. 그때 삼천포여자중학교에서 교편을 잡던 시조시인 김상옥 선생을 만나 감화를 받고 시를 쓸 결심을 굳혔음.
- 1947년 삼천포중학 병설 야간중학교에 입학, 낮에는 여중에서 급사로 일하고 밤에는 수업을 들음. 성적은 전교 수석. 김상옥 선생의 첫 시조집 “초적(草笛)”을 살 돈이 없어, 그것을 공책에 베껴 애송하는 등 시에 더욱 심취하였음.
- 1948년 교내신문 “삼중(三中)” 창간호에 동요 ‘강아지’, 시조 ‘해인사’ 발표.
- 1949년 경영부진으로 야간 중학교가 폐쇄되어 주간 중학교로 흡수됨. 이때 야간 중학교에서 전교 수석을 한 덕택으로 학비를 면제받고 주간 중학교 학생이 되었음. 제1회 영남예술제 ‘한글시 백일장’에서 시조 ‘촉석루’가 차상으로 입상. 당시 장원이던 이형기와 친교를 맺음.
- 1950년 진주 농림에 다니던 김재섭(金載燮), 김동일(金棟日)과 함께 동인지 “군상(群像) 펴냄.
- 1951년 4년제 중학 졸업 후 삼천포고등학교 2년에 편입학함. 이때 처음으로 술을 시작함.
- 1953년 삼천포고등학교를 수석 졸업(제1회). 이때가 가장 부지런히 시작을 한 시기였음. 모윤숙 추천으로 시조 ‘강물에서’가 “문예”지 11월호에 발표됨. 피난지 부산 동광동 3가 8에서 제2대 민의원이었고 중학교 시절 교장이었던 정헌주(鄭憲住) 선생의 집에서 식객노릇을 함.
- 1954년 은사 김상옥 선생의 소개로 현대문학사에 취직, 창간 준비를 시작함. 당시 주간은 조연현, 편집장은 오영수, 편집사원으로는 임상순, 김구용이 있었음.
- 1955년 “현대문학”에 ‘시조 섭리'(6월호, 유치환), ‘시 정적'(11월호, 서정주)으로 추천을 완료, 김관식, 신동준 등과 함께 등단함. 이해에 고려대학교 국문과에 입학함(3년 중퇴).
- 1957년 시 ‘춘향이 마음’을 발표하고 현대문학사 제정 제2회 신인문학상을 수상함. 고려대학교를 3년 중퇴하고 “문예춘추”와 “대한일보” 기자로 활동 시작함.
- 1958년 육군 입대. 1년 6개월 근무하고 예비역으로 편입됨.
- 1961년 구자운, 박성룡, 박희진, 성찬경 등과 함께 “60년대사화집” 동인으로 활동.
- 1962년 김정립 여사와 결혼. 하숙을 하던 서울 종로구 누상동 166의 20번지에서 신접살림을 차림.
- 1962년 처녀시집 “春香이 마음” 출간(신구문화사).
- 1963년 장녀 소영(召英) 출생.
- 1964년 “현대문학사”를 그만두고 상중당에 입사하여 “문학춘추” 창간에 참여, 1년 근무(“문학춘추”의 판권이 다른 곳으로 넘어가자 퇴사함).
- 1965년 경우당(景友堂) 발행의 월간 “바둑”지 편집장으로 입사했다가 6개월만에 그만두고 “대한일보” 기자로 입사, 3년 근무.
- 1966년 장남 상하(祥夏) 출생.
- 1967년 남정현의 ‘분지’ 사건 공판을 처음 보고 충격을 받아 고혈압으로 쓰러져 6개월 가량 입원. “대한일보”에서 퇴사함.
- 1967년 문교부 주관 문예상 수상.
- 1969년 삼성출판사 입사.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11-83번지에 처음으로 집을 마련함. 다시 고혈압으로 쓰러짐. 이때의 고통과 이 고통에서 벗어난 기쁨을 시로 엮은 것이 제2시집 “햇빛 속에서”임.
- 1970년 한국시인협회 주관으로 제2시집 “햇빛 속에서” 출간(문원사). 이때부터 “서울 신문”, “대한일보”, 국제신보” 등에 바둑 관전기를 쓰기 시작함.
- 970년 차남 상규(祥圭) 출생. 이듬해(1971년) 상규가 뇌막염으로 메디칼 센터에 입원했다가 17일만에 퇴원함.
- 1972년 직장 생활에서 완전히 벗어나 홀가분한 자유인이 됨. 산문 등의 원고료로 생활비 충당함.
- 1973년 일본어를 번역하여 생활을 꾸려감.
- 1974년 한국시인협회 사무국장으로 피선됨.
- 1975년 제3시집 “천년의 바람” 출간(민음사). 대한기원 이사가 됨.
- 1976년 제4시집 “어린 것들 옆에서” 가 국민학교 동창 김욱상의 도움으로 출간(현현각)됨.
- 1977년 제9회 한국시인협회상 수상. 제1수필집 “슬퍼서 아름다운 이야기” 출간(경미문화사). 서울 묵동 177의 3번지로 이사함.
- 1978년 제2수필집 “빛과 소리의 풀밭” 출간(고려원).
- 1979년 제5시집 “뜨거운 달” 출간(근역서재).
- 1980년 제3수필집 “노래는 참말입니다.” 출간(열쇠). 위궤양으로 한양대학병원에 약 보름간 입원.
- 1981년 제6시집 “비 듣는 가을나무” 출간(동화출판공사). 고혈압, 위궤양으로 40여일간 한양대학병원에 다시 입원.
- 1982년 제4수필집 “샛길의 유혹” 출간(태창문화사). 제7회 노산문학상 수상.
- 1983년 수필선집 “숨 가쁜 나무여 사랑이여” 출간(도서출판 오상). “바둑한담” 출간(중앙일보사). 제7시집 “추억에서” 출간(현대문학사). 제10회 한국문학작가상 수상.
- 1984년 제5수필집 “너와 내가 하나로 될 때” 출간(문음사). 자선시집 “아득하면 되리라” 출간(정음사).
- 1985년 제8시집 “대관령 근처” 출간(정음사). 제9시집 “내 사랑은” (시조집)출간(영언문화사).
- 1986년 제10시집 “찬란한 미지수” 출간(오상사). 제6수필집 “아름다운 삶의 무늬” 출간(어문각). 제7수필집 “차 한 잔의 팡세” 출간(자유문학사). 중앙일보 시조대상 수상.
- 1986년 시선집 “간절한 소망” 출간.
- 1987년 시선집 “바다 위 별들이 하는 짓”, “울음이 타는 가을강”, “가을 바다” 출간. 제11시집 “사랑이여” 출간(실천문학사). 제2회 평화문학상 수상.
- 1987년 5월 12일 삼천포시청(현제 사천시 삼천포청사) 내에 ‘젊은 삼천포’가 새겨진 박재삼 시노래비가 삼천포 중앙라이온스클럽에 의해 제막됨.
- 1988년 시선집 “햇빛에 실린 곡조” 출간. 제7회 조연현문학상 수상.
- 1988년 4월 10일 삼천포 노산공원에 ‘천년의 바람”이 새겨진 박재삼 시비가 삼천포 청년회의소에 의해 제막됨.
- 1990년 제12시집 “해와 달의 궤적” 출간(신원문화사). 제8수필집 “미지수에 대한 탐구” 출간(문이당).
- 1991년 제13시집 “꽃은 푸른 빛을 피하고” 출간(민음사). 인촌상 수상. 한국대표시인100인선집 52번으로 “울음이 타는 가을江” 출간(미래사).
- 1993년 사랑의 테마시 100편을 담은 시선집 “사랑하는 이의 머리칼” 출간(동서문학사). 제14시집 “허무에 갇혀” 출간(시와시학사).
- 1994년 시선집 “울음이 타는 가을강” 출간(한미디어). 제9수필집 “아름다운 현재의 다른 이름” 출간.
- 1994년 “박재삼 시 전작전집” 출간 (영하출판사).
- 1995년 백일장 심사 도중 신부전증으로 쓰러짐.
- 1996년 제15시집 “다시 그리움으로” 출간 (실천문학사).
- 1997년 6년 8일 [丁丑年 5월 4일(음)] 새벽 5시경, 10여년의 투병 생활 끝에 영면에 들다. 유택은 충남 공주군 의당면 도신리(도덕교회 바로 뒤 언덕).
- 1998년 “박재삼 시전집(1)” 출간 (민음사).